-
[창업과외⑤] 시장과 경쟁, AI로 분석하는 실전 전략창업학개론 2025. 5. 2. 08:48반응형
사업계획서를 평가하는 심사위원들이 가장 눈여겨보는 부분 중 하나는 바로 ‘시장성’과 ‘경쟁 우위’입니다.
아무리 아이템이 좋아도 시장이 작거나 경쟁력이 떨어지면 정부는 그 사업에 투자하려 하지 않습니다.이 장에서는 AI를 활용해 시장을 파악하고, 경쟁자를 분석하는 방법을 구체적인 예시와 함께 알려드립니다. 특히 시간을 절약하면서도 신뢰성 있는 내용을 구성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시장분석, AI는 어디까지 도와줄 수 있을까?
시장 분석의 목적은 다음과 같은 질문에 답하는 것입니다.
- 이 사업이 진입하려는 시장은 얼마나 큰가?
- 어떤 소비자가, 어떤 이유로 이 제품(서비스)을 이용할 것인가?
- 앞으로 이 시장은 성장할 것인가?
AI는 이러한 질문에 대해 기초 조사와 구조화된 서술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AI를 활용한 키워드 시장 조사
ChatGPT와 같은 AI에 아래와 같이 질문을 입력해보세요.
예시 Prompt:
“2024년 한국 도시락 배달 시장의 트렌드와 주요 소비자층을 요약해줘.”
결과 예시:
- 시장 트렌드: 1인 가구 증가, 건강식 수요 증가, 정기구독형 식단 확대
- 주요 소비자: 20~40대 직장인, 다이어트 관심층, 가정 내 식사 준비 시간 부족층
- 성장 요인: 맞춤형 식단, 고단백·저염 메뉴, 배송 정기화 시스템
이러한 내용은 ‘시장 개요’, ‘수요 트렌드’, ‘기회 요인’ 항목에 그대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TAM, SAM, SOM 개념도 AI로 정리 가능
정부지원사업에서는 시장 규모 분석이 중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때 TAM-SAM-SOM 개념은 다음과 같이 활용됩니다.
- TAM (Total Addressable Market): 전체 시장 규모
- SAM (Serviceable Available Market): 내가 접근 가능한 시장
- SOM (Serviceable Obtainable Market): 실제로 내가 차지할 수 있는 시장
예시 Prompt:
“서울에서 반찬 도시락 구독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TAM, SAM, SOM을 간략히 정리해줘.”
결과 예시:
- TAM: 국내 도시락 배달 시장 약 1조 2천억 원
- SAM: 수도권 1인 가구 중심 약 3천억 원
- SOM: 초기 타겟 고객 확보 기준 약 10억 원 예상 매출
AI가 계산된 수치를 제시하지는 못하더라도 시장 개념 구조를 간단하고 설득력 있게 설명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경쟁사 분석, AI는 어떻게 접근하는가?
경쟁사 분석은 단순히 “누가 경쟁자다”를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다음과 같은 포인트를 중심으로 해야 합니다.
- 주요 경쟁 업체는 누구인가?
- 경쟁사의 강점과 약점은?
- 우리와의 차별화 포인트는 무엇인가?
예시 Prompt:
“배민 B마트와 쿠팡잇츠 마켓의 장단점과 도시락 스타트업이 차별화할 수 있는 전략을 알려줘.”
결과 요약:
- 배민 B마트: 인지도와 배송망 강점, 단일상품 가격경쟁이 약점
- 쿠팡잇츠 마켓: 새벽배송 강점, 식단 구독 전문성은 낮음
- 차별화 전략: 고객 맞춤형 식단 제공, 영양 컨설팅 포함, 정기배송 정착률 강화
이런 정보는 사업계획서의 '경쟁분석', '차별화 전략', '기대효과' 항목에 활용됩니다.
경쟁우위 요소 시각화까지 도와주는 AI
AI는 직접 표를 그릴 수는 없지만, 내용을 정리해주는 데 탁월합니다.
예시 Prompt:
“경쟁사 대비 우리 서비스의 강점과 약점을 비교표 형태로 정리해줘.”
결과 예시 (표 형태로 텍스트 출력):
항목경쟁사 A우리 서비스맞춤형 식단 제공 없음 있음 (AI 식단 매칭) 배송 시간 다양성 있음 제한적 (오전 배송 집중) 고객 유지율 낮음 정기 이용자 리텐션 전략 강화 이러한 내용은 심사위원에게 ‘비교를 통해 강점이 명확하다’는 인상을 줍니다.
정리: 시장과 경쟁을 분석하는 관점이 AI를 통해 구조화된다
AI는 시장 크기와 트렌드, 경쟁사 구조, 차별화 포인트를 빠르게 정리해주는 데 강력한 도구입니다.
무엇보다도 초보 창업자나 글쓰기에 익숙하지 않은 분들도 논리적 구조를 갖춘 계획서 문장을 쉽게 만들 수 있게 도와줍니다.
실전 TIP: AI에게 던질 핵심 질문 리스트
- 내 아이템이 진출할 시장 규모는?
- 고객은 어떤 특징을 가진 사람들인가?
- 최근 3년간 해당 시장의 트렌드는?
- 경쟁사는 누구이며, 어떤 전략을 쓰고 있는가?
- 우리 서비스가 경쟁자보다 우위에 있는 요소는?
다음 장에서는 사업계획서에서 가장 어려워하는 수익모델과 BEP 분석을 AI로 어떻게 손쉽게 구성할 수 있는지 설명합니다. 숫자에 약한 창업자라면 반드시 읽어야 할 내용입니다.
반응형'창업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업과외⑦] 운영계획과 실행 로드맵, AI로 설득력을 더하라 (0) 2025.05.04 [창업과외⑥] 수익모델과 BEP 분석, AI로 쉽게 풀어보자 (0) 2025.05.03 [창업과외④] AI와 함께 사업 아이템을 구체화하는 방법 (2) 2025.05.01 [창업과외③] AI는 어떻게 사업계획서를 도와줄 수 있는가? (1) 2025.04.30 [창업과외②] 정부지원사업 (0) 2025.04.29